이 매뉴얼은 JK전자(JK Electronics) 에 의해서 번역, 수정, 작성 되었고 소유권 또한 JK전자(JK Electronics)의 것입니다. 소유권자의 허가를 받지 않고 무단으로 수정, 삭제하거나 배포 할 수 없습니다. |
|||
Cortex-M4 STM32F407IGT6 영상처리 개발보드 메뉴얼 - USB |
|||
* Update history - 2012.4.25 : 초기 Release |
|||
4. S/W 테스트 방법 4.8 USB Mass Storage with internal RAM 4.9 USB HID 4.10 USB Mass Storage with SD Memory 4.11 USB Mass Storage with NAND Flash 4.12 USB HOST HID 키보드 4.13 USB HOST Storage |
|||
4.8 USB Mass Storage
with internal RAM (1) /Examples/USB/Device/Memory -- RL-AR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지 않은 예제 소스 (2) /Examples/USB/Device/RTX/Memory -- RL-ARM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예제 소스 (3) 내부 RAM중에서 30KB 를 Mass Storage로 인식 하도록 하는 예제 입니다. (4)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미니포트 J18(full-speed) or J19(high-speed) 를 PC의 USB 포트에 연결 합니다. (5) USB Device 테스트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부팅을 한 이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J18 or J19 를 통해서 개발보드를 부팅 해야 합니다. (6) 컴파일 시에 KEIL 개발환경에서 full-speed와 high-speed를 구분해서 컴파일 할 수 있습니다. ![]() 아래는 PC 윈도에서 Mass Storage로 동작하는 화면 ![]() 4.9 USB HID (1) /Examples/USB/Device/HID -- RL-AR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지 않은 예제 소스 (2) /Examples/USB/Device/RTX/HID -- RL-ARM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예제 소스 (3) USB Class중 HID class 응용 예제 (4)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미니포트 J18(full-speed) or J19(high-speed) 를 PC의 USB 포트에 연결 합니다. (5) USB Device 테스트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부팅을 한 이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J18 or J19 를 통해서 개발보드를 부팅 해야 합니다. (6) 컴파일 시에 KEIL 개발환경에서 full-speed와 high-speed를 구분해서 컴파일 할 수 있습니다. ![]() 아래는 PC 윈도에서 USB HID 장치로 인식된 화면 ![]() 개발보드와 함께 제공되는 "CD\PC-Software\HID_Client\Release\HIDClient.exe" 를 실행 합니다. 실행파일과 VC++ 소스와 함께 제공 하고 있습니다. - Output 테스트 : Outputs의 0번 비트를 Check 하면 CPU모듈의 LED1이 ON이 되고 Uncheck LED1이 OFF 됩니다. ![]() - Input 테스트 : 개발보드의 USER, TEMPER, WKUP 버튼을 누르면 차례대로 Inputs 의 하위 비트들이 Check, Uncheck 됩니다. ![]() 4.10 USB Mass Storage with SD Memory (1) /Examples/USB/Device/Memory_FlashFS\SD_Memory (2) 개발보드의 SD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PC에서 개발보드를 Mass Storage로 인식 하도록 하는 예제 입니다. (3)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미니포트 J19(high-speed) 를 PC의 USB 포트에 연결 합니다. (4) USB Device 테스트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부팅을 한 이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J19 를 통해서 개발보드를 부팅 해야 합니다. - 반드시 SW3, SW4 를 아래 그림과 같이 SD 쪽으로 점퍼를 Short 시켜야 SD메모리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아래는 PC 윈도에서 Mass Storage로 동작하는 화면 ![]() 4.12 USB HOST HID 키보드 (1) /Examples/USB/Device/Memory_FlashFS\NAND_Memory (2) 개발보드의 NAND플래시를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PC에서 개발보드를 Mass Storage로 인식 하도록 하는 예제 입니다. (3)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미니포트 J19(high-speed) 를 PC의 USB 포트에 연결 합니다. (4) USB Device 테스트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부팅을 한 이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J19 를 통해서 개발보드를 부팅 해야 합니다. - 반드시 SW5, SW6 를 아래 그림과 같이 BL 쪽으로 점퍼를 Short 시킵니다. ![]() 아래는 PC 윈도에서 Mass Storage로 동작하는 화면 ![]() 4.11 USB Mass Storage with NAND Flash (1) /Examples/USB/Device/Memory_FlashFS\NAND_Memory (2) 개발보드의 NAND플래시를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PC에서 개발보드를 Mass Storage로 인식 하도록 하는 예제 입니다. (3)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미니포트 J19(high-speed) 를 PC의 USB 포트에 연결 합니다. (4) USB Device 테스트시에는 외부 전원으로 부팅을 한 이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J19 를 통해서 개발보드를 부팅 해야 합니다. - 반드시 SW5, SW6 를 아래 그림과 같이 BL 쪽으로 점퍼를 Short 시킵니다. ![]() 아래는 PC 윈도에서 Mass Storage로 동작하는 화면 ![]() 4.12 USB HOST HID 키보드 (1) /Examples/USB/Host/HID_Kb (2) 개발보드의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하는 예제 입니다. (3)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호스스 포트 J20(full-speed) 에 USB 키보드를 연결 하고 개발보드의 LCD 창에 보여지는 명령을 입력 합니다. (4) USB 키보드 테스트를 종료하는 방법은 USB 키보드에서 ESC 키를 입력 합니다. 아래는 개발보드의 LCD창에 나타난 USB HID 키보드 구동 예제 입니다. ![]() 4.13 USB HOST Storage (1) /Examples/USB/Host/MSD_File (2) 개발보드의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하는 예제 입니다. (3) 테스트 방법은 개발보드의 USB 호스스 포트 J20(full-speed) 에 USB 메모리 스틱 등을 연결 합니다. (4) PC와 개발보드의 UART3을 연결하고 하이퍼 터미널을 115200bps 로 연결 합니다. - 개발보드의 UART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SW3, SW4 를 아래 그림과 같이 UART 쪽으로 점퍼를 Short 시킵니다. ![]() 아래는 하이퍼 터미널에 개발보드에 연결된 USB 메모리 스틱의 파일 내용을 보여 주는 화면 입니다. ![]() |
|||